2025년 1학기 융복합창의전공 학생선발 계획 [복수전공, 부전공, 연계전공, 자기설계전공, 산학융복합전공, 융합전공]
2025. 3.
| 【 목 차 】 |
|
|
|
1. 융복합창의전공의 개념 1 2. 지원자격 1 3. 융복합창의전공 신청 가능 학과 및 선발방법 2 4. 추진일정 2 5. 신청방법 2 6. 유의사항 3 [붙임1] 융복합창의전공 신청 가능 학과 및 선발방법 5 [붙임2] 연계전공 안내 16 [붙임3] 자기설계전공 안내 19 [붙임4] 산학융복합전공 안내 19 [붙임5] 융합전공 안내 19 [붙임6] 교직 자격종별 표시과목 및 교직복수전공 선발 정원 21 |
1. 융복합창의전공의 개념 ◦ ‘융복합창의전공’은 복수전공, 부전공, 연계전공, 자기설계전공, 산학융복합전공, 융합전공을 통칭하는 우리 대학교 다전공 제도 복수전공 | - 학생이 소속한 학과(부) 이외의 전공과정을 이수하는 전공 (복수전공 신청가능학과) | 부전공 | - 학생이 소속한 학과(부) 이외의 전공과정을 일정 학점 수 이상 체계적으로 이수하는 전공(부전공 신청가능학과) | 연계전공 | - 2개 이상의 학과(부) 또는 전공이 연계하여 제공하는 전공 | 자기설계전공 | - 학생이 교육과정을 지도교수와 함께 편성하여 이수하는 전공 | 산학융복합전공 | - 2개 이상의 학과(부)가 산업체와 교육과정을 공동으로 설계하여 제공하는 전공 | 융합전공 | - 교내ㆍ외 2개 이상의 학과(부) 또는 전공의 전임교원이 국내ㆍ외 타 대학과 교육과정을 융합하여 제공하는 전공 |
※ 연계전공, 자기설계전공, 산학융복합전공, 융합전공은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
2. 지원자격 ◦ 공통 지원자격 - 3학기 이상 이수(예정)자부터 (3개 정규 학기 이상 이수(예정)하고 33학점 이상 취득한 자) - 편입생은 본교에서 33학점 이상 취득한 자 |
※ 2016학년도 입학자부터는 4학년 2학기 이후 복수전공 신청이 불가. (단, 부득이한 경우에는 주전공 학과장의 승인(개별 상담 후 온라인 승인)을 거쳐 신청 가능)
◦ 교직 복수전공, 교직 연계전공 지원자격 - 사범대학 소속학생: 3학기 이상 이수(예정)자부터 (3개 정규 학기 이상 이수(예정)하고 33학점 이상 취득한 자) - 교직과정설치학과 재학생으로 교직이수자로 선발된 자 ※ 교직 복수전공 이수자 선발에 인원 제한 있음(교직 승인정원의 100%) |
※ 주전공의 교직을 취소하고자 하는 학생은 ‘교직 취소신청서’를 별도 작성하여 소속학과에 제출
◦ 학과별 선발방법 및 지원자격과 융복합창의전공 안내 - 학과별 선발방법 및 지원자격 - 연계전공 안내 (34개), 자기설계전공 안내 (2개), 산학융복합전공 안내 (1개), 융합전공 안내(7개)
3. 융복합창의전공 신청 가능 학과 및 선발방법: 붙임1. ◦ 복수(부) 전공은 모든 학과 간에 이수할 수 있음(단, 복수(부)전공 제한학과 제외) - 복수(부) 전공 제한학과 : 공과대학 건축학과, 약학대학 각 학과, 의과대학 각 학과, 예술대학 회화과, 조소과 및 관현악과, 수의과대학 각 학과, 간호학과, 국가안보융합학부 각 전공
◦ 교직 복수전공, 교직 연계전공은 사범대학 소속 학생, 교직과정 설치학과의 교직과정 이수대상자에 한하여 신청할 수 있음
◦ 연계전공은 복수(부)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음: 붙임2. 연계전공 안내 참조 ※ 연계전공 참여학과를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하는 자는 연계전공 이수자로 선발 불가(단, 참여학과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 취소시 이수 가능)
4. 추진일정 구 분 | 일 시 | 비 고 | 신청기간(1, 2지망) | 2025. 4. 7.(월) 9:00 ~ 4. 11.(금) 18:00 | 통합정보시스템 접수 | 학과승인(주전공) | 2025. 4. 14.(월) | 주전공 학과 | 1지망 선발 | 학생선발 (대상학과) | 2025. 4. 16.(수) ~ 4. 17.(목) | 대상학과 및 주관학과 | 2지망 선발 | 학생선발 (대상학과) | 2025. 4. 21.(월) ~ 4. 22.(화) | 대상학과 및 주관학과 | 1, 2 지망 | 단과대학 승인 | 2025. 4. 24.(목) ~ 4. 25.(금) | 소속 단과대학 | 선발결과 제출 | 2025. 4. 29.(화) ~ 4. 30.(수) | 소속 단과대학 | 대학본부 승인 | 2025. 5. 2.(금) ~ 5. 13.(화) | 학사지원과 | 학사정보 반영 | 2025. 5. 20.(화) | 학사지원과 |
※ 일정은 학사 상황에 따라 향후 조정될 수 있음
5. 신청방법 ◦ 1·2지망 학과(전공)을 선택하여 신청 ※ 총 1회 신청 가능: 복수전공 1회(1지망, 2지망) 또는 부전공 1회(1지망, 2지망)
◦ 신청서 방법: 통합정보시스템 → 학사행정 → 일반복수(부)신청접수 ※ 교직복수전공신청자: 통합정보시스템 → 교직관리 → 교직신청접수
6. 유의사항 ◦ 동일학과의 복수(부)전공 변경 안내 - 복수전공→부전공 또는 부전공→복수전공으로 변경할 경우에는,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을 신청한 후 해당 학과에 변경 사실을 안내하고, 이후 선발 및 승인되면 기존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을 본부에서 취소 처리함 변경을 위한 복수·부전공 신청 (학생) | → | 복수·부전공 학과에 변경 사실 안내 (학생) | → | 선발 및 승인 (해당학과) | → | 기존 복수·부전공 취소 처리 (본부) |
|
|
| ↘ |
|
|
|
|
|
|
| 미선발 (해당학과) | → | 기존 전공 유지 |
◦ 학점 이수 참고사항 - 교육과정 적용년도가 2015학년도 이후 학생 ‧ 복수전공: 주전공 39학점 이상, 복수전공 39학점 이상 이수(학과별 졸업이수학점 확인) ‧ 부전공: 주전공 54학점 이상, 부전공 24학점 이상 이수(학과별 졸업이수학점 확인) ※ 2015학년도 이후 교육과정 적용년도 학생의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2014학년도 이전 교육과정을 적용받을 수 없음 - 교육과정 적용년도가 2014학년도 이전 학생 ‧ 복수전공: 주전공 48학점 이상, 복수전공 48 이상 이수(학과별 졸업이수학점 확인) ‧ 부전공: 주전공 48학점 이상, 부전공 30 이상 이수(학과별 졸업이수학점 확인) ※ 2014학년도 이전 교육과정 적용년도 학생은 2015학년도 이후 교육과정을 적용받을 수 없음(단,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을 2015학년도 교육과정으로 적용받고 싶을 때에는 학생 주전공의 교육과정 적용년도를 2015학년도로 변경해야 함) ※ 2014학년도 이전 교육과정 적용년도 학생은 주전공과 복수전공의 교육과정에 동일한 교과목이 있는 경우 15학점 범위에서 주전공 및 복수전공 교과목으로 각각 인정함
◦ 2015학년도 이후 통합학과의 복수전공 신청 - 교육과정 적용년도가 2014학년도 이전 학생은‧ 통합학과*로 복수전공 신청 불가 * 통합학과: 행정학부, 기계공학부, 전파정보통신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응용화학공학과, 동물자원과학부, 유기재료공학과 단, 학생 주전공의 교육과정 적용년도를 2015학년도 이후로 변경 시 통합학과로 복수전공 가능
※ 교육과정 적용년도 변경 후에는 해당 학년도의 개편된 교양과 전공을 이수하야 함 (주전공 학과에서는 정확한 학사지도 후 교육과정 적용년도 변경) - 교육과정 적용년도가 2015학년도 이후 학생은 통합 이전 학과*로 복수전공 신청 불가 * 통합 이전 학과: 행정학과, 자치행정학과,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전파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나노소재공학과, 재료공학과, 화학공학과, 정밀응용화학과, 동물자원생명과학과,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고분자공학과,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 사범대학 소속학생 또는 교직과정설치학과의 교직이수예정자로 선발된 학생만 교직 복수전공으로 교원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음
◦ 문헌정보학과, 심리학과, 식품영양학과, 간호학과의 교직과정이수자는 일반 사범계학과 및 교직과정 설치학과를 부전공으로 이수할 수 없음.(즉, 중등학교 정교사 2급, 사서교사, 전문상담교사, 영양교사, 보건교사 등 교사자격종별이 다른 상호간에는 부전공이 불가함)
◦ 보건의료계열에 해당하는 모든 학과의 소속학생은 복수전공 및 부전공을 할 수 없음
◦ 교직과정을 운영하는 연계전공《도덕ㆍ윤리, 통합과학》은 표시과목 관련학과를 전공하는 교직이수자에 한하여 복수전공 이수가 가능하며, 이미 연계전공 표시과목 관련학과를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하는 자는 연계전공 이수자로 선발이 불가함(단,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을 취소하였을 경우 연계전공 신청 가능)
붙임1. 융복합창의전공 학과별 선발방법 및 지원자격
◦ 교직복수전공 가능학과(교직복수전공은 교직이수자와 사범대학 학생만 가능) 단과대학 | 학과명 | 세부 선발기준 | 비고 (선발정원 등) |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 제한 없음 |
|
| 영어영문학과 | - 지원자격(성적기준): 3.0이상 지원자격이 기준학점 미만일 경우, TOEIC 800점 이상 또는 그에 상응하는 어학성적 제출 시 선발 | 어학성적 제출 ga_youngp@cnu.ac.kr |
| 독어독문학과* | - 일반복수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불어불문학과* | - 일반복수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중어중문학과* | - 일반복수(부)전공: 성적 3.0이상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일어일문학과* | - 일반복수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한문학과* | - 일반복수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언어학과 | 제한 없음 |
|
| 국사학과 | 제한 없음 | 국사학과 답사참여 최소 (2회) 필수 |
| 사학과* | - 일반복수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고고학과 | 제한 없음 | 졸업필수요건: 필드실습필수(발굴현장실습) |
| 철학과* | - 일반복수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사회과학 대학 | 사회학과* | - 일반복수전공(성적기준): 2.75 이상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문헌정보학과* | - 성적순으로 선발: 문헌정보학과 전공을 이수하였을 경우 우선 선발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 일반복수(부)전공 선발인원: 10명 이내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심리학과* | - 성적순 선발 - 지원자격(성적기준): 3.5 이상 |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10명 이내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언론정보학과 | 성적순 선발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10명 이내 |
| 사회복지학과 | 일반복수(부)전공: 정원 내 성적순 선발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년 5명 이내(학기별 2~3명) |
| 정치외교학과 | 제한 없음 |
|
| 행정학부* | - 일반복수(부)전공: 정원 내 성적순선발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 일반복수(부)전공 선발인원: 10명 이내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동점자처리기준: 선수과목 행정학 관련 과목 이수 |
| 도시·자치융합학과 | 성적순 선발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10명 이내 | 자연과학 대학 | 수학과 | 제한 없음 |
|
| 정보통계학과 | 성적순 선발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6명 이내 |
| 물리학과* | - 일반복수(부)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천문우주과학과 | 제한 없음 |
|
| 화학과* | - 일반복수(부)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생화학과 | 제한 없음 |
|
| 지질환경과학과* | - 일반복수(부)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해양환경과학과* | - 일반복수(부)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반도체융합학과 | 신청 불가 | 미운영 |
| 스포츠과학과 | 제한 없음 |
|
| 무용학과 | 한국무용 | 실기시험 별도 실시 |
|
| 현대무용 |
| 발레 | 경상대학 | 경영학부* | - 성적기준: 3.5 이상 - 부·복수 구별하지 않고, 지원자 전체를 대상으로 성적순 선발 성적이 같은 경우, 경영학부 전공이수 학점이 많은 학생 순으로 선발 - 교직복수전공: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 선발인원: 입학정원의 40% 내외 - 복수, 부전공 포함 학기당 45명 내외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경제학과* | - 성적순 선발 - 지원자격: 3.2 이상 | - 일반복수(부) 전공 선발 인원: 복수, 부전공 포함 학기당 25명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무역학과* | - 일반복수(부)전공: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 선발인원: 복수, 부전공 포함 학기당 45명 내외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공과대학 | 건축학과 | 복수전공 불가 |
|
| 스마트시티건축공학과 | - 성적기준: 3.5 이상 - 일반복수(부)전공 선발정원: 3명 이내 | 졸업필수요건: 졸업논문 |
| 토목공학과 | ◦성적기준: 3.0 이상 ◦면접실시: P/F |
|
| 환경공학과 | 제한 없음 |
|
| 기계공학부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 수학, 물리 전공시험 60점 이상자 중 성적순 선발 | - 일반복수(부)전공 선발정원: 3명 - 교육과정 적용년도 2015이후 학생 기계공학부 - 교육과정 적용년도 2014이전 학생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
| 메카트로닉스공학과 | - 성적기준: 3.3 이상 - 선수과목: 수학(미적분내용 포함), 물리학 관련 각 1과목씩 이수 |
|
| 자율운항시스템 공학과 | 제한 없음 |
|
| 항공우주공학과 | 제한 없음 |
|
| 신소재공학과 (재료공학과, 나노소재공학과) | - 성적기준: 3.0 이상 | - 교육과정 적용년도 2015이후 학생 신소재공학과 - 교육과정 적용년도 2014이전 학생 재료공학과, 나노소재공학과 |
| 유기재료공학과 (고분자공학과,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 제한 없음 | - 교육과정 적용년도 2016이후 학생 유기재료공학과 - 교육과정 적용년도 2015이전 학생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고분자공학과 |
| 응용화학공학과 (화학공학과, 정밀응용화학과) | - 지원자격 성적기준: 3.0 이상 ※ 2025년 2학기부터 지원자격 변경 - 성적기준: 3.5 이상 - 선수과목: 수학(미적분내용 포함)과 화학 관련 각 1과목씩 이수 및 해당 과목 모두 Bo 이상 | - 지원자격 충족자 전원 선발 - 교육과정 적용년도 2015이후 학생 응용화학공학과 - 교육과정 적용년도 2014이전 학생 화학공학과, 정밀응용화학과 |
| 전기공학과 | 제한 없음 |
|
| 전자공학과 | 제한 없음 |
|
| 전파정보통신공학과 (전파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 제한 없음 | - 교육과정 적용년도 2015이후 학생 전파정보통신공학과 - 교육과정 적용년도 2014이전 학생 전파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
| 컴퓨터융합학부* (컴퓨터공학과*) | - 복수(부)전공 및 교직복수전공(아래 두 가지 요건 모두 충족) 성적기준: 3.0 이상(정원 내 성적순 선발) 선수과목: 컴퓨터프로그래밍 1,2, 컴퓨터과학적사고 중 1과목 이상 Bo 이상 | - 일반복수(부)전공 선발정원: 10명 이내. 단, 인공지능학과 재학생의 경우 일반복수(부)전공 신청시 선발정원과 세부 선발기준에 제한을 두지 않음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인공지능학과 | - 복수전공 및 부전공 (아래 요건 모두 충족) 성적기준: 3.0 이상(정원 내 성적순 선발) 선수과목: 컴퓨터프로그래밍 1,2, 컴퓨터과학적사고 중 1과목 이상 Bo 이상 | - 일반복수(부)전공 선발정원: 4명 이내 단, 컴퓨터융합학부(컴퓨터공학과) 재학생의 경우 일반복수(부)전공 신청시 선발정원과 세부선발기준에 제한을 두지 않음 |
| 에너지공학과 | - 지원자격 성적기준: 3.0 이상 |
| 농업생명 과학대학 | 식물자원학과* | - 성적기준: 3.0 이상 - 선수과목: ‘필수생물학, 생물학, 생명의 이해, 생명화학의 이해’ 교양교과목 중 1과목 이상 이수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원예학과* | - 일반복수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산림환경자원학과 | 제한 없음 |
|
| 환경소재공학과 | 제한 없음 |
|
| 응용생물학과* | - 일반복수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동물자원과학부* | - 일반복수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지역환경토목학과* | - 일반복수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 - 일반복수전공: 제한없음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식품공학과 | - 성적기준: 3.0 이상 - 선수과목: 필수생물학, 화학개론 등 생물학 또는 화학 관련 교과목 1과목 이상 이수 ※ 2026년 1학기부터 지원자격 변경 - 성적기준: 3.5 이상 - 선수과목: 필수생물학, 화학개론, 통계학입문 등 생물학, 화학, 통계학 관련 교과목 각 분야별 1과목 이상 이수 |
|
| 생물환경화학과 | 제한 없음 |
|
| 농업경제학과* | - 선발방법 농업경제학과 전공 중 1과목 이상 이수 - 면접 실시(P/F) - 교직복수전공: 교직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생활과학 대학 | 의류학과 | 제한 없음 |
|
| 식품영양학과* | - 지원자격 성적기준: 3.5 이상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소비자학과 | 성적순 선발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10명 내외 | 예술대학 | 음악과 | 성악 | 실기시험 별도 실시 |
|
|
| 작곡 |
|
| 피아노 |
| 관현악과 | 관악 | 복수전공 불가 |
|
|
| 현악 |
| 회화과 | 한국화 | 복수전공 불가 |
|
|
| 서양화 |
| 조소과 | 복수전공 불가 |
|
| 디자인 창의학과 | 도자·섬유 디자인 | 서류전형 실시: 수학계획서, 포트폴리오 |
|
|
| 시각·제품 디자인 | 서류전형 실시: 수학계획서, 포트폴리오 |
| 수의과대학 | 수의예과 | 복수전공 불가 |
|
| 수의학과 | 복수전공 불가 |
| 사범대학* | 국어교육과 | - 교직 정원 내 성적순 선발 - 지원자격 성적기준: 3.5 이상 선수과목 중 택 2과목 (2과목 B+ 이상) ·국문학개론 ·국어학개론 ·현대문학개론 교직복수전공 1지망자 - 면접: P/F(전공구술고사)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일반 복수전공 불가 |
| 영어교육과 | - 교직 정원 내 성적순 선발 - 지원자격 성적기준: 3.5 이상 선수과목 중 택 2과목 (2과목 B+ 이상) ·영국및북미주의문화 ·영어문법지도 ·영어교육 ·영한대조분석 ·영어읽기지도법(2017- 2학기까지 인정) ·영어교육론(2016- 2학기 이수까지 인정) 교직복수전공 1지망자 - 영어면접: P/F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일반 복수전공 불가 |
| 교육학과 | 교직 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일반 복수전공 불가 |
| 체육교육과 | - 교직 정원 내 성적순 선발 - 실기시험 별도 실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일반 복수전공 불가 |
| 수학교육과 | - 교직 정원 내 성적순 선발 - 지원자격 성적기준: 3.5 이상 선수과목 중 택 2과목 (2과목 B+ 이상) ·미적분학과해석기하학1 ·미적분학과해석기하학2 ·집합론 ·정수론 - 전공구술고사: P/F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일반 복수전공 불가 |
| 기술교육과 | - 교직 정원 내 성적순 선발 - 지원자격 성적기준: 3.5 이상 선수과목: 공업물리, 공업수학 각 B+ 이상 - 전공구술고사: P/F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일반 복수전공 불가 |
| 건설공학교육과 | 교직 정원 내 성적순 선발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일반 복수전공 불가 |
| 기계·재료공학 교육과 ※ 2023학번부터 기계공학교육과로 신청 | - 교직 정원 내 성적순 선발 - 전공구술고사 실시: P/F - 선수과목: 4과목 각 Bo 이상이면서 2과목 이상 B+ 이상 공업수학, 공업수학2, 공업물리, 공업물리2 |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교직적용년도 2016학년도 이전 학생의 표시과목: 기계·금속 교직적용년도 2017학년도 이후 학생의 표시과목: 기계, 재료 중 선택 ※ 일반 복수전공 불가 |
|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 교직 정원 내 성적순 선발 - 선수과목: 공업수학, 공업물리 각 Bo 이상 |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교직적용년도 2016학년도 이전 학생의 표시과목: 전기·전자·통신 교직적용년도 2016학년도 이후 학생의 표시과목: 전기, 전자, 통신 중 선택 ※ 일반 복수전공 불가 |
| 화학공학교육과 | 교직 정원 내 성적순 선발 |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교직적용년도 2016학년도 이전 학생의 표시과목: 화공·섬유 교직적용년도 2016학년도 이후 학생의 표시과목: 화공, 섬유 중 선택 ※ 일반 복수전공 불가 | 간호대학 | 간호학과 | 복수전공 불가 |
| 생명시스템과학대학 | 생물과학과* | - 일반복수(부)전공 및 교직복수전공(아래 두 가지 요건 모두 충족) 성적기준: 3.0 이상(정원 내 성적순 선발) 선수과목: 생물학 관련 2과목 이상 이수 및 성적등급 각각 B+ 이상(과목은 교양, 전공 무관) | - 일반복수선발인원: 3명 이내 - 교직복수선발정원: 붙임6 참고
|
| 미생물·분자생명 과학과 | - 성적기준: 3.0이상 - 선수과목: 생물학 및 미생물학 관련 과목 6학점 이수 |
|
| 생명정보융합학과 | - 성적기준: 3.0 이상 - 선수과목: 생물학 관련 2과목 이상 이수 및 성적등급 각각 B+ 이상(과목은 교양, 전공 무관) |
| 자유전공학부 | 인문·사회과학전공 | 성적순 선발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4명 내외 |
| 리더십과조직과학전공 | 성적순 선발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4명 내외 |
| 리더십과조직과학전공(재직자) | 복수전공 불가 |
|
| 공공안전학전공 | 성적순 선발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4명 내외 | 국가안보 융합학부 | 국토안보학전공 | 복수전공 불가 | ※ 국가안보융합학부 소속학생은 복수전공 신청이 가능함 |
| 해양안보학전공 | 복수전공 불가 | 국제학부 | 국제학전공 | - 성적순 선발 - 지원자격: 토익 750, 토플 iBT 71, 혹은 IELTS 5.5점 이상 소지자 ※ 모국어로 치른 어학성적은 인정하지 않되, 영어가 모국어 및 법적 공용어인 국가의 국적 소지자의 경우 별도 영어 관련 어학성적 제출하지 않아도 지원 가능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5명 내외 - 2022,2023학년도 교육과정 적용자만 지원 가능 | 어학성적 제출 cnusis@cnu.ac.kr (신청 기간 내 제출) |
| 한국문화학전공 | - 성적순 선발 - 지원자격: 외국인전형 입학자 ※ 한국문화학전공은 정원외 외국인 유학생으로만 구성된 전공으로 외국인 전형 입학자만 선발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5명 내외 - 2022,2023학년도 교육과정 적용자만 지원 가능 |
|
| 국제학부 | - 성적순 선발 - 지원자격: 토익 750, 토플 iBT 71, IELTS 5.5점, 혹은 TOPIK 3급 이상 소지자 ※ 모국어로 치른 어학성적은 인정하지 않되, 영어가 모국어 및 법적 공용어인 국가의 국적 소지자의 경우 별도 영어 관련 어학성적 제출하지 않아도 지원 가능 ※ 영어 어학성적 제출자의 경우 영어 교육과정을, 한국어 어학성적 제출자의 경우 한국어 교육과정 적용(한국어 교육과정은 외국인 유학생만 적용)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5명 내외 - 2024학년도 이후 교육과정 적용자부터 지원 가능 | 어학성적 제출 cnusis@cnu.ac.kr (신청 기간 내 제출) | 연계전공 | 목조건축 및 인테리어디자인전공 | 제한 없음 |
|
| 중국통상전공 | 성적기준: 2.25이상 |
|
| 국제학전공 | 제한 없음 |
|
| 인문콘텐츠전공 | 제한 없음 |
|
| 아시아비즈니스전공 | 성적기준: 복수전공 3.3 이상, 부전공 3.0 이상 |
|
| 의약생명학전공 | 신청 불가 | 사업종료 |
| 감성인지소프트 웨어전공 | 성적기준: 3.0 이상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10명 |
| 환경ICT전공 | 성적기준: 3.0 이상 |
|
| 과채·특용작물영농창업전공 | 기 선발된 학생만 지원가능 | 4월에 기 선발함 |
| 스마트이트레이드전공 | 성적기준: 복수전공 3.3 이상, 부전공 3.0 이상 |
|
| 지식생태전공 | 제한 없음 |
|
| 언어정보처리전공 | 제한 없음 |
|
| 백제학전공 | 제한 없음 |
|
| 충청학전공 | 제한 없음 |
|
| 창업경영학전공 | 제한 없음 |
|
| 통일리더십과개발협력전공 | 제한 없음 |
|
| 항공우주안보학전공 | 제한 없음 |
|
| 과학기술·행정 융복합전공 | 신청 불가 | 사업종료 |
| 바이오AI융합전공 | - 선수과목: 생물학 관련 2과목 이상 이수(과목은 교양, 전공 무관) |
|
| 지식재산융합전공 | ◦성적순 선발 |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20명 |
| 반도체융합전공 | 제한 없음 |
|
| 도덕‧윤리전공 (※교직운영) | 제한 없음 | 관련학과의 교직이수자만 복수전공 가능 |
| 통합과학전공 (※교직운영) | 제한 없음 |
|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융합전공 | - 학업계획서 평가 실시(P/F) | 학업계획서 제출 dlwndo4688@cnu.ac.kr (신청 기간 내 제출) 복수(부)전공 선발인원: 50명 |
| 인문사회 디지털 융합전공 | 제한 없음 |
|
| 스마트도시재생융합전공 | 제한 없음 |
|
| 수소스마트모빌리티전공 | 제한 없음 |
|
| 패션 AI전공 | 제한 없음 |
|
| 디지털 AI 스마트파밍전공 | 제한 없음 |
|
| 에코바이오신소재전공 | 제한 없음 |
|
| 융합푸드시스템전공 | 제한 없음 |
|
| 지능형 정밀 육종전공 | 제한 없음 |
|
| 친환경 Ag- Tech전공 | 제한 없음 |
|
| 탄소중립과 바이오비지니스전공 | 제한 없음 |
| 자기설계전공 | 스포츠심리상담전공 | 제한 없음 |
|
| 고전문화창의전공 | 제한 없음 |
| 산학융복합전공 | 에너지공학전공 | 신청 불가 | 2025년 1학기부터 에너지 공학과 교육과정으로만 운영 | 융합전공 | 블록체인전공 | 제한 없음 |
|
| 사이버보안전공 | 제한 없음 |
|
| 개인정보보호전공 | 제한 없음 |
|
| 클라우드전공 | 제한 없음 |
|
| 데이터 보안·활용전공 | 제한 없음 |
|
| 바이오의약품 실무전공 | 제한 없음 |
|
| 그린바이오전공 | 신청 불가 | 미운영 |
붙임2. 연계전공 안내
◦ 연계전공: 2개 이상의 학과 ‧ 학부 ‧ 전공 간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전공을 연계전공이라 하며 연계전공을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음 (단, 교직운영 연계전공은 관련학과에 한하여 이수 가능)
◦ 연계전공의 교육과정 적용년도 - 2015학년도 이후 연계전공 이수 대상자의 교육과정 적용년도는 주전공의 교육과정 적용년도를 연계전공 교육과정 적용년도와 동일하게 반영(단, 연계전공 교육과정이 변경되었을 때에는 주전공의 교육과정 적용년도 이후의 연계전공 교육과정 적용년도를 반영할 수 있음) 예시) 2015학번이 지식생태전공을 연계전공으로 신청 : 2015학년도 교육과정 적용 - 2014학년도 이전 연계전공 이수 대상자의 교육과정 적용년도는 2014학년도 교육과정을 적용함 예시) 2011학번이 지식생태전공을 연계전공으로 신청 : 2014학년도 교육과정 적용 - 교직과정을 운영하는 연계전공 이수 대상자는 주전공의 교육과정 적용년도를 반영 ※ 교직과정을 운영하는 연계전공《도덕ㆍ윤리, 통합과학》은 표시과목 관련학과를 전공하는 교직이수자에 한하여 복수전공 이수가 가능하며, 이미 연계전공 표시과목 관련학과를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하는 자는 연계전공 이수자로 선발이 불가(단, 관련학과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 취소시 이수 가능) ※ 연계전공 참여학과를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하는 자는 연계전공 이수자로 선발 불가(단, 참여학과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 취소시 이수 가능)
연계전공명 | 학위명 | 주관학과(연락처) 및 참여학과 | 목조건축 및 인테리어디자인전공 | 공학사 | - 주관학과: 환경소재공학과(5751) - 참여학과: 건축학과, 환경소재공학과 | 중국통상전공 | 지역학사 | - 주관학과: 중어중문학과(5361) - 참여학과: 중어중문학과, 무역학과 | 국제학전공 | 국제학사 | - 주관학과: 정치외교학과(5851) - 참여학과: 영어영문학과, 고고학과, 사회학과, 언론정보학과, 행정학부, 무역학과, 경영학부, 법학부, 정치외교학과 | 인문콘텐츠전공 | 인문콘텐츠학사 | - 주관학과: 국어국문학과(5321) - 참여학과: 고고학과, 철학과, 디자인창의학과, 국어국문학과 | 아시아비즈니스전공 | 아시아 비즈니스학사 | - 주관학과: 무역학과(5551) - 참여학과: 경제학과, 무역학과, 영어영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일어일문학과 | 의약생명학전공 | 의약생명학사 | - 주관학과: 약학과(5920) - 참여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동물자원생명과학과,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약학과, 제약학과, 수의학과, 생물학과, 미생물분자생명과학과, 의과학과(대학원) | 감성인지소프트웨어전공 | 공학사 | - 주관학과: 심리학과(6361) - 참여학과: 심리학과, 컴퓨터융합학부 | 환경ICT전공 | 공학사 | - 주관학과: 환경공학과(6671) - 참여학과: 환경공학과, 컴퓨터융합학부 | 과채·특용작물영농창업전공 | 농학사 | - 주관학과: 원예학과(5731) - 과채·특용작물영농창업사업단(5718) - 참여학과: 원예학과, 식물자원학과, 응용생물학과, 생물환경화학과, 농업경제학과 | 스마트이트레이드전공 | 스마트이트레이드학사 | - 주관학과: 무역학과(5551) - 참여학과: 무역학과, 의류학과, 컴퓨터융합학부 | 지식생태전공 | 정보공학사 | - 주관학과: 문헌정보학과(6351) - 참여학과: 문헌정보학과, 컴퓨터융합학부 | 언어정보처리전공 | 언어공학사 | - 주관학과: 언어학과(6391) - 참여학과: 언어학과, 컴퓨터융합학부 | 백제학전공 | 백제학사 | - 주관학과: 고고학과(6381) - 참여학과: 국사학과, 사학과, 고고학과 | 충청학전공 | 문학사 | - 주관학과: 한문학과(5381) - 참여학과: 국사학과, 철학과, 한문학과 | 창업경영학전공 ‘미래기술창업학전공’폐지 및‘창업경영학전공’으로 변경 | 창업경영학사 | - 주관학과: 경영학부(5531) - 참여학과: 경영학부, 경제학과, 무역학과, 컴퓨터융합학부, 언론정보학과, 영어영문학과, 중어중문학과, 건축학과 | 통일리더십과개발협력전공 | 통일학사 | - 주관학과: 정치외교학과(5851) - 참여학과: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행정학부, 언론정보학과, 사회복지학과, 국사학과 | 항공우주안보학전공 | 군사학사 | - 주관학과: 국가안보융합학부(6084) - 참여학과: 국가안보융합학부, 항공우주공학과, 천문우주과학과 | 과학기술·행정 융복합전공 | 과학기술·행정 융복합학사 | - 주관학과: DSC 공유대학(3646) - 참여학과: 기계공학교육과, 전자공학과, 정보통신융합학부, 행정학부, 환경공학과, 경제학과, 정치외교학과 | 바이오AI융합전공 | 바이오AI융합학사 | - 주관학과: 생명정보융합학과(5491) - 참여학과: 컴퓨터융합학부, 생물과학과, 미생물·분자생명과학과 | 지식재산융합전공 | 지식재산학사 | - 주관학과: 미래인재융합학부(605- 3699) - 참여학과: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스마트농업시스템기계공학과, 건설공학교육과, 지식재산전문인력양성사업단 | 반도체융합전공 | 공학사 | - 주관학과: 물리학과(5451) - 참여학과: 기계공학부, 신소재공학과, 전자공학과, 정보통신융합학부, 분석과학기술학과(전문대학원) | 도덕‧윤리전공 (※교직운영) | 문학사 | - 주관학과: 철학과(6321) - 관련학과: 철학과, 교육학과 | 통합과학전공 (※교직운영) | 이학사 | - 주관학과: 생물과학과(5491) - 관련학과: 화학과, 물리학과, 생물과학과, 지질환경과학과, 해양환경과학과, 응용생물학과 |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융합전공 | 공학사 | - 주관학과: 신소재공학과(6631) - 관련학과: 신소재공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기계공학부, 정보통신융합학부 | 인문사회 디지털 융합전공 | 디지털융합 문학사 | - 주관학과: 언어학과(6391) - 관련학과: 언어학과, 영어영문학과, 심리학과, 정보통신융합학부, 고고학과, 일어일문학과 | 스마트도시재생융합전공 | 스마트도시재생융합문학사 | - 주관학과: 한문학과(5381) - 관련학과: 철학과, 국사학과, 불어불문학과, 경영학부, 디자인창의학과, 스마트시티건축공학과, 소비자학과 | 수소스마트모빌리티전공 | 수소스마트모빌리티학사 | - 주관학과: 기계공학부(6641) - 관련학과: 기계공학부, 에너지공학과, 자율운항시스템공학과 | 패션 AI전공 | 패션AI융합 학사 | - 주관학과: 의류학과(6821) - 관련학과: 인공지능학과 | 디지털 AI 스마트파밍전공 | 농학사 | - 주관학과: 스마트농업시스템기계공학과(6711) - 관련학과: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식물자원학과, 원예학과, 지역환경토목학과, 응용생물학과 | 에코바이오신소재전공 | 농학사 | - 주관학과: 환경소재공학과(5751) - 관련학과: 응용생물학과, 산림환경자원학과 | 융합푸드시스템전공 | 농학사 | - 주관학과: 식품공학과(6721) - 관련학과: 동물자원생명과학과, 스마트농업시스템기계공학과, 환경소재공학과 | 지능형 정밀 육종전공 | 농학사 | - 주관학과: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5781) - 관련학과: 식물자원학과, 원예학과 | 친환경 Ag- Tech전공 | 농학사 | - 주관학과: 생물환경화학과(6731) - 관련학과: 응용생물학과, 농업경제학과, 지역환경토목학과 | 탄소중립과 바이오비지니스전공 | 농학사 | - 주관학과: 환경소재공학과(5751) - 관련학과: 생물환경화학과, 농업경제학과, 산림환경자원학과 |
붙임3. 자기설계전공 안내 자기설계전공명 | 학위명 | 주관학과 | 지도교수 | 스포츠심리상담전공 | 스포츠심리상담학사 | 스포츠과학과 | - 스포츠과학과 윤대현 교수 (문의: 042- 821- 6451, 스포츠과학과 사무실) | 고전문화창의전공 | 문학사 | 한문학과 | - 한문학과 이현중 교수 (문의: 042- 821- 5381, 한문학과 사무실) |
붙임4. 산학융복합전공 안내 ※ 신청 불가 – 선발하지 않음(2025년 1학기부터 에너지공학과 교육과정으로만 운영) 산학융복합전공명 | 학위명 | 주관학과 | 참여 학과 및 기관 | 에너지공학전공 | 공학사 | 에너지공학과 (5901) | - 교내: 에너지공학과 문의: 에너지공학과 사무실 042- 821- 5901 (산학연 W1 613호) | - 교외: ㈜ 솔브레인, ㈜에스에너지, ㈜디엔에프, ㈜뉴파워프라즈마, ㈜코캄, ㈜이지, ㈜씨엔엘에너지, ㈜알티엑스, ㈜파인텍, ㈜에어레인, ㈜삼진정밀, ㈜일신오토클레이브 |
붙임5. 융합전공 안내 ◦ 융합전공: 교내ㆍ외 2개 이상의 학과(부) 또는 전공의 전임교원이 국내ㆍ외 타 대학과 교육과정을 융합하여 제공하는 전공
융합전공명 | 학위명 | 주관학과(연락처) 및 참여학과 | 블록체인전공 | 공학사 | - 주관학과: 컴퓨터융합학부(6651) - 참여학과: 충남대 공과대학 인공지능학과, 강원대 AI융합학과, 컴퓨터융합학부, 아주대 사이버보안학과, 소프트웨어학과, 한양대(ERICA) 컴퓨터학부, 전자공학부 | 사이버보안전공 | 공학사 | - 주관학과: 컴퓨터융합학부(6651) - 참여학과: 충남대 공과대학 인공지능학과, 강원대 AI융합학과, 컴퓨터융합학부, 아주대 사이버보안학과, 소프트웨어학과, 한양대(ERICA) 컴퓨터학부, 전자공학부 | 개인정보보호전공 | 공학사 | - 주관학과: 컴퓨터융합학부(6651) - 참여학과: 충남대 공과대학 인공지능학과, 강원대 AI융합학과, 컴퓨터융합학부, 아주대 사이버보안학과, 소프트웨어학과, 한양대(ERICA) 컴퓨터학부, 전자공학부 | 클라우드전공 | 공학사 | - 주관학과: 컴퓨터융합학부(6651) - 참여학과: 충남대 공과대학 인공지능학과, 강원대 AI융합학과, 컴퓨터융합학부, 아주대 사이버보안학과, 소프트웨어학과, 한양대(ERICA) 컴퓨터학부, 전자공학부 | 데이터 보안·활용전공 | 공학사 | - 주관학과: 컴퓨터융합학부(6651) - 참여학과: 충남대 공과대학 인공지능학과, 강원대 AI융합학과, 컴퓨터융합학부, 아주대 사이버보안학과, 소프트웨어학과, 한양대(ERICA) 컴퓨터학부, 전자공학부 | 바이오의약품 실무전공 | 의약생명학사 | - 주관학과: 식품영양학과(6831) - 참여학과: 충남대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충남대 자연과학대학 생화학과,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 분석과학기술학과, 배재대 생명공학과, 대전대 생명과학과 | 그린바이오전공 | 그린바이오 융합학사 | - 주관학과: 동물자원생명과학과(5771) - 참여학과: 충남대 농업생명과학대학 12개 학과, 경희대 한방생명공학과 외 5개 학과, 전남대 융합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외 6개 학과, 서울대 응용생물학과 외 12개 학과, 연암대 스마트원예계열, 스마트축산계열 |
붙임6. 교직 자격종별 표시과목 및 교직복수전공 선발 정원 단과대학 | 학과 | 자격종별 및 표시과목 | 교직 복수전공 선발 정원 | 인문대학 | 독어독문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독일어 | 4 | 불어불문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프랑스어 | 2 | 중어중문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중국어 | 6 | 일어일문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일본어 | 4 | 한문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한문 | 2 | 사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역사 | 4 | 철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철학 | 4 | 사회과학대학 | 사회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일반사회 | 2 | 문헌정보학과 | 사서교사(2급) |
| 4 | 심리학과 | 전문상담교사(2급) |
| 4 | 행정학부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일반사회 | 2 | 자연과학대학 | 물리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물리 | 10 | 화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화학 | 8 | 지질환경과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지구과학 | 6 | 해양환경과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지구과학 | 4 | 경상대학 | 경제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일반사회 | 4 | 경영학부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상업 | 10 | 무역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상업 | 2 | 공과대학 | 컴퓨터융합학부 (컴퓨터공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정보·컴퓨터 | 2 | 농업생명과학대학 | 식물자원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식물자원·조경 | 2 | 원예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식물자원·조경 | 2 | 동물자원과학부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동물자원 | 4 | 응용생물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생물 | 2 | 지역환경토목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농공 | 2 |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농공 | 2 | 농업경제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농산물유통 | 2 | 생활과학대학 | 식품영양학과 | 영양교사(2급) |
| 6 | 생명시스템과학대학 | 생물과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생물 | 8 | 사범대학 | 국어교육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국어 | 13 | 영어교육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영어 | 13 | 교육학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교육학 | 15 | 체육교육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체육 | 20 | 수학교육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수학 | 14 | 기술교육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기술 | 30 | 건설공학교육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건설 | 20 | 기계공학교육과 (기계·재료공학교육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기계 | 30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재료 |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전기 | 30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전자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통신 | 화학공학교육과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화공 | 15 | 중등학교 정교사(2급) | 섬유 |
서식. 교직이수 취소 신청서 교직이수 취소 신청서 | 신청자 | 소 속 | 단과대학 |
| 학 과 (전공) |
| 성 명 |
| 학번 |
| 학년 |
| 취소사유 |
예) 학점 불충족, 건강상이유, 진로변경 등 | 충남대학교 학칙 제59조, 충남대학교 학사운영규정 제20조, 충남대학교 교원양성과정 운영지침 7 에 의거 교직이수 취소를 신청합니다.
20 년 월 일
신청자 : (서명 또는 인) |
|
| ○○대학장 귀하 |
| 확 인 | 학 과(부) 장 |
|
|